-
반응형
많은 분들이 건강검진에서 뇌혈관이나 심혈관 질환 위험을 듣게 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이 바로 “만약 수술을 받게 된다면 비용이 얼마나 들까?”라는 고민이에요. 특히 뇌와 심장은 생명과 직결된 장기이기 때문에 치료를 미루기 어렵고, 대부분 상급병원(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 서울아산병원 등)에서 수술을 받게 되는데요. 상급병원은 의료진과 장비가 최고 수준이지만 그만큼 진료비도 만만치 않습니다. 실제로 뇌혈관 수술은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 심혈관 수술은 최대 3천만 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어요. 보험이 없다면 큰 부담이 될 수 있는 금액이지요. 오늘은 뇌혈관과 심혈관 수술비를 상급병원 기준으로 정리해드리고, 환자 본인부담금이 실제로 어느 정도 되는지 알려드릴게요. 이 내용을 미리 아신다면, 보험 준비를 통해 수천만 원을 절약할 수도 있어요.
1. 뇌혈관 수술비
뇌혈관은 갑작스러운 뇌출혈, 뇌경색, 뇌동맥류 파열 등 응급상황으로 이어지기 쉬워요. 대표적인 수술별 비용은 다음과 같아요.
- 뇌동맥류 결찰술(클리핑 수술)
상급병원 기준 총 진료비는 약 1,000만 원 내외이며, 건강보험 적용 시 환자 본인부담금은 200~300만 원대 정도예요. - 뇌혈관 중재술(코일 색전술, 스텐트 삽입)
총 비용은 800만~1,200만 원 선이며, 환자 본인부담금은 약 200~400만 원 수준이에요. 다만 코일이나 스텐트 같은 비급여 재료비가 추가되면 부담은 훨씬 커질 수 있어요.2 - 뇌혈관 우회술
난이도가 높은 수술로, 상급병원 진료비가 2,000만 원 이상 발생합니다. 환자 본인부담금은 최소 500만 원 이상으로 보고 준비하는 것이 안전해요. - 뇌혈관 조영술(검사)
수술 전 필수 검사로, 총 비용은 약 80만~150만 원, 환자 본인부담금은 20~40만 원 선이에요.
2. 심혈관 수술비
심혈관은 협심증, 심근경색, 판막질환 등으로 인해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요. 상급병원 기준 비용은 다음과 같아요.
- 관상동맥우회술(CABG)
대표적인 개심수술로, 총 진료비는 3,000만~3,500만 원 수준이에요. 환자 본인부담금은 약 600~800만 원 정도 됩니다. - 심장판막 수술(치환·성형)
판막이 손상된 경우 시행되며, 총 진료비는 3,500만 원 이상이에요. 본인부담금은 약 700만 원 내외로 나타납니다. - 스텐트 삽입술(심장혈관 중재술, PCI)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환자에게 가장 많이 시행되며, 건강보험 수가 기준으로 **463만 원(4개 혈관 기준)**이에요. 상급병원 총 진료비는 500만~700만 원, 환자 본인부담금은 100~200만 원 선이에요. - 일반 개심수술
판막 외 다른 심장질환 수술의 경우 총 진료비는 2,500만~3,000만 원, 본인부담금은 400~500만 원 정도 발생해요.
3. 실제 부담금 차이와 보험 필요성
위에서 보셨듯이, 뇌혈관·심혈관 수술비는 상급병원 기준으로 총액이 수천만 원에 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보험 덕분에 환자 본인부담금은 수백만 원 수준으로 줄어들지요. 문제는 비급여 항목이에요. 스텐트나 코일 같은 특수 재료, 고급 인공판막 등은 보험 적용이 안 되기 때문에 수술 한 번에 추가로 수백만~천만 원 이상이 더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려면 실손보험, 뇌·심혈관 특약, 수술보험 등을 꼭 준비하셔야 실제 부담금을 최소화할 수 있어요.
상급병원 기준 뇌·심혈관 수술비 요약 구분 총 진료비(상급병원) 본인부담금(보험 적용 시) 뇌혈관 - 뇌동맥류 클리핑 약 1,000만 원 200~300만 원대 뇌혈관 - 중재술(코일/스텐트) 800만~1,200만 원 200~400만 원 뇌혈관 - 우회술 2,000만 원 이상 500만 원 이상 뇌혈관 - 조영술(검사) 80만~150만 원 20~40만 원 심혈관 - 관상동맥우회술(CABG) 3,000만~3,500만 원 600~800만 원 심혈관 - 심장판막 수술 3,500만 원 이상 700만 원 내외 심혈관 - 스텐트 삽입술(PCI) 500만~700만 원 100~200만 원 심혈관 - 일반 개심수술 2,500만~3,000만 원 400~500만 원 ※ 상기 금액은 상급종합병원 기준 일반적 범위이며, 환자 상태·입원일수·비급여 소모품(코일·스텐트·특수판막 등) 사용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 실손/특약 구성에 따라 실제 환자 부담은 추가 절감될 수 있어요. 정확한 견적은 해당 병원 상담을 권장드려요.
결론
뇌와 심장은 갑작스러운 사고처럼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상급병원에서 고난도 수술을 받게 돼요. 그만큼 수술비는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까지 다양하게 발생하지요. 오늘 정리해드린 내용을 보시면, “보험이 없을 때 내 통장에서 바로 나가는 돈이 얼마인지” 실감하실 거예요.
따라서 지금이라도 자신의 보험을 점검해보고, 뇌·심혈관 보장 특약이 충분히 들어있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현명한 준비입니다.
반응형'뇌혈관질환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경색증도 뇌졸중 보험금 보장? 법원 판결로 확인된 중요한 사실 (0) 2025.09.11 스텐트 삽입술과 중재시술 특약, 심뇌혈관질환 대비 필수 보장 (0) 2025.09.09 2대 질병 혈전용해치료특약, 꼭 필요한 이유와 보장 내용 (0) 2025.09.09 중증 뇌혈관질환, 산정특례 대상이어도 보험이 필요한 5가지 이유 (1) 2025.04.23 뇌 MRI 조건부 급여, 실손보험은 어디까지 보장해줄까? (1) 2025.04.23 - 뇌동맥류 결찰술(클리핑 수술)